맨위로가기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프랑스 국적의 소설가로, 1940년 니스에서 태어났다. 1963년 소설 《조서》로 르노도 상을 수상하며 데뷔했고, 2008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르 클레지오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어린 시절, 여행, 자연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프랑스와 모리셔스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지리아에 거주한 프랑스인 - 베르나르 쿠슈네르
    베르나르 쿠슈네르는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의사, 인도주의 운동가로서, 국경 없는 의사회와 세계 의사회 공동 설립, 프랑스 사회당 활동, 보건부 장관 역임, 외무부 장관,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 대표 등을 지냈다.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원어명Jean-Marie Gustave Le Clézio
로마자 표기J.M.G. Le Clézio
출생일1940년 4월 13일
출생지니스, 프랑스
국적프랑스, 모리셔스
직업작가, 소설가
활동 기간1963년–현재
작품
장르소설
단편 소설
수필
번역
주제망명
이주
어린 시절
생태학
대표 작품조서
사막
수상
수상르노도 상 (1963년)
노벨 문학상 (2008년)
기타
웹사이트노벨 재단 소개
데뷔 작품『조서』
2008년 르 클레지오
2008년 르 클레지오
스톡홀름 기자회견에서 (2008년)
스톡홀름 기자회견에서 (2008년)

2. 생애

르 클레지오는 18세기 브르타뉴에서 모리셔스로 이주한 가문 출신으로, 1940년 니스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아버지와 떨어져 지내야 했다. 7살 때부터 글을 쓰기 시작하여 1963년 첫 소설 《르 프로세 베르발(Le Procès-Verbal)》로 르노도 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니스 문학전문학교와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페르피냥 대학교에서 멕시코 초기 역사 관련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서구 문명과는 다른, 자연과 어우러진 삶을 추구했으며, 이러한 사상적 변모는 1997년작 <황금물고기>에 잘 드러나 있다.

1970년부터 1974년까지 파나마의 엠베라-우누안 부족과 함께 생활했고, 1975년에는 모로코 출신 제미아 장과 결혼하여 슬하에 세 딸을 두었다. 1990년대부터 뉴멕시코주 앨버커키, 모리셔스, 니스에 거주하고 있다.[10]

대한민국과도 인연이 깊어,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기도 했다.[12][1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40년 프랑스 니스에서 영국계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상은 18세기 브르타뉴에서 모리셔스로 이주하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르 클레지오와 그의 어머니는 니스에 있었고, 그의 아버지는 영국군 외과 의사로 나이지리아에 있었다.[6]

1948년까지 니스 근처의 작은 마을 로크빌리에르에서 자랐으며, 그 후 어머니, 형과 함께 배를 타고 나이지리아에 있는 아버지에게 합류했다.[6]

1958년부터 1959년까지 영국의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7][8] 니스 문학전문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9] 1964년에는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에서 앙리 미쇼와 신비주의 경험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11]

1983년 페르피냥 대학교에서 멕시코 초기 역사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1]

2. 2. 작가 활동

1963년 첫 소설 《르 프로세 베르발(Le Procès-Verbal)》(《심문(The Interrogation)》)로 르노도 상(Prix Renaudot)을 수상하고 콩쿠르 상(Prix Goncourt) 후보에 오르면서 작가로 데뷔하였다.[5] 초기에는 광기(insanity), 언어(language), 자연, 그리고 글쓰기와 같은 주제를 탐구했다. 조르주 페렉(Georges Perec)이나 미셸 부토르(Michel Butor)와 같은 동시대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형식적 실험에 전념했으며, 혁신가이자 반항아로서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찬사를 받았다.

1970년대 후반, 르 클레지오는 문체를 바꾸어 실험을 포기하고, 어린 시절(childhood), 사춘기, 여행과 같은 주제를 사용하면서 고뇌에서 벗어나 더 넓은 독자층을 확보했다. 1980년 소설 《데제르(Désert)》로 프랑스 아카데미(Académie Française)가 수여하는 그랑프리 폴 모랑 상(Paul Morand)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15] 1994년 프랑스 문학 잡지 《리르》의 설문 조사에서 독자의 13%가 그를 가장 위대한 현존 프랑스어 작가로 꼽았다.[16]

대한민국을 자주 방문했으며,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는 등 전 세계 여러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2. 3. 한국과의 인연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프랑스어프랑스 문학을 가르쳤다.[12][13] 그는 여러 차례 대한민국을 방문했으며, 한국 문화와 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3. 작품 세계

르 클레지오는 1963년 첫 소설 《조서(Le Procès-Verbal프랑스어)》로 르노도 상을 수상하고 공쿠르 상 후보에 오르며 등단했다.[5] 이후 단편 소설, 장편 소설, 수필, 아메리카 원주민 신화 번역서, 어린이 책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36권 이상 출판했다.

초기에는 광기, 언어, 글쓰기 등을 주제로 실험적인 작품을 썼으며, 조르주 페렉, 미셸 부토르 등의 영향을 받았다. 미셸 푸코질 들뢰즈는 그를 혁신적이고 반항적인 작가로 평가했다. 데뷔작 『조서』는 아르튀르 랭보, 윌리엄 블레이크, 장 뤼크 고다르의 영화와 비교되기도 했으며, 헨리 밀러와 관련짓는 의견도 있었다.[40] 단편집 『발열』(1965)은 J. D. 샐린저의 영향을 받아 일상 속 광기를 묘사했다.[41] 『대홍수』(1966)는 랭보의 "대홍수"를 의식해 쓰였으며, 8살 때 쓴 "흑인 오라디"가 삽입되었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어린 시절, 사춘기, 여행 등을 주제로 다루며 문체가 간결해졌다. 1980년 소설 《데제르(Désert)》로 프랑스 아카데미의 폴 모랑 상을 수상했다.[15] 1994년 프랑스 문학 잡지 《리르》의 설문 조사에서 독자의 13%가 그를 가장 위대한 현존 프랑스어 작가로 꼽았다.[16]

『저편으로의 여행』(1975)을 시작으로, 『지상의 낯선 소년』(1978), 『몽드 기타 이야기』(1978, 한국어 제목 『바다를 본 적 없는 소년』) 등을 통해 평이하고 간소한 문체로 변화했다. 『사막』(1980)에서는 20세기 초 사하라 사막에 살던 베르베르족이 기독교인에 맞서 저항하는 모습과, 이후 북아프리카계 노동자들의 빈곤을 통해 유럽 문명의 추함을 보여주었다.

이후 『황금 탐색자』(1985), 『로드리게스 섬으로의 여행』(1986) 등 조상의 역사를 다룬 작품과, 『오니차』(1991), 『방랑하는 별』(1992) 등 유년 시절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 고래잡이의 성쇠와 여러 인물들의 몰락을 주제로 한 『파와나』(1992)와 같이 생태적인 시각을 포함한 작품도 있다.

3. 1. 주요 주제

르 클레지오의 작품들은 서구 문명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며,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것을 주요 주제로 삼는다.[17][18] 특히 사막[17], 바다와 같은 자연 환경에 대한 깊은 관심을 작품에 담아내고, 문명 이전의 순수함을 동경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르 클레지오는 서구 중심의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그 아래 감춰진 다양한 인류의 모습을 탐구한다. 특히,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로 인해 억압받고 소외된 사람들의 삶에 주목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들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성장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변화와 정체성 탐구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유년 시절의 순수함과 상실감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성장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고뇌를 진솔하게 그려낸다.

낯선 세계를 탐험하고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여정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고 자아를 발견하는 과정을 그리는 것 또한 르 클레지오 작품의 주요 특징이다. 그는 여행을 통해 얻은 경험과 깨달음을 바탕으로,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와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3. 2. 문체 및 기법

르 클레지오는 초기 작품에서 광기(insanity), 언어(language), 글쓰기와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실험적인 글쓰기 방식을 추구했다.[5] 조르주 페렉(Georges Perec)이나 미셸 부토르(Michel Butor)와 같은 동시대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형식적 실험에 몰두했으며,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질 들뢰즈(Gilles Deleuze)로부터 혁신적이고 반항적인 작가라는 찬사를 받았다.[5]

1970년대 후반, 르 클레지오는 작품 세계에 큰 변화를 맞이한다. 실험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어린 시절(childhood), 사춘기, 여행 등의 주제를 다루면서 좀 더 간결하고 시적인 문체를 선보였다.[15] 이러한 변화는 더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계기가 되었다.

4. 주요 작품


  • Le Procès-verbal프랑스어 (조서, 1963)[5]
  • La Fièvre프랑스어 (열병, 1965)
  • Le Déluge프랑스어 (대홍수, 1966)
  • La Guerre프랑스어 (전쟁, 1970)
  • Voyages de l'autre côté프랑스어 (저편으로의 여행, 1975)
  • Désert프랑스어 (사막, 1980)[15]
  • Le Chercheur d'Or프랑스어 (황금 탐색자, 1985)
  • Onitsha프랑스어 (오니샤, 1991)
  • Étoile errante프랑스어 (방랑하는 별, 1992)
  • Poisson d'or프랑스어 (황금 물고기, 1997)
  • Révolutions프랑스어 (혁명, 2003)
  • Ritournelle de la faim프랑스어 (기아의 노래, 2008)

5. 수상 내역

년도작품
1963르노도 상조서 (Le Procès-Verbal)
1972발레리 라르보 상전 작품[26]
1980폴 모랑 상 (프랑스 아카데미 수여)사막
1997장 지오노 상[27]황금 물고기 ('Poisson dor'')
1998모나코 왕자 상전 작품 및 황금 물고기 출판[28]
2008스티그 다게르만 상[29][30]전 작품 및 여행기 라가. 보이지 않는 대륙에의 접근 (Raga. Approche du continent invisible)의 스웨덴어 번역 출판[31]
2008노벨 문학상

6. 논란

르 클레지오는 2014년 7월 멕시코의 한 보호시설 책임자 '마마 로사'를 옹호하는 글을 기고하여 논란이 되었다. 당시 경찰이 이 시설을 급습했을 때, 아이들이 썩은 음식을 먹고 부모의 뜻에 반해 갇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르 클레지오는 『르 몽드』지에 기고한 글에서 마마 로사를 성인에 가까운 인물이라고 주장했다.[21]

7. 기타


  • 1991년 10월 25일 레지옹 도뇌르 훈장 기사작위를 받았으며,[32] 2009년에는 오피시에 작위로 승격되었다.[33]
  • 1996년 국가 공로 훈장 오피시에 작위를 받았다.[34]
  • 바누아투 포트빌라에 있는 J. M. G. 르 클레지오 프랑스 고등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뉴스 A Frenchman and a Geographer http://entertainment[...] review is taken from the TLS 2006-04-21
[2] 웹사이트 Internet might have stopped Hitler https://web.archive.[...] comcast.net 2008-12-07
[3] 뉴스 A Frenchman and a geographer http://entertainment[...]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2006-04-21
[4] 뉴스 Nobel award restores French literary pride https://www.theguard[...] 2008-10-10
[5] 뉴스 Jean-Marie Gustave Le Clezio wins the 2008 Nobel Literature Prize https://web.archive.[...] 2008-10-09
[6] 서적 Multicultural Writers Since 1945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7] 웹사이트 Jean-Marie Gustave Le Clézio wins Nobel Prize http://www.bris.ac.u[...] University of Bristol 2008-10-10
[8] 웹사이트 MBA-unice.edu https://web.archive.[...]
[9] 서적 France and the Americas ABC-CLIO
[10] 뉴스 Nomadic writer wins Nobel prize http://www.iht.com/a[...] 2008-10-09
[11] 서적 La Conquista divina de Michoacán Fondo de Cultura Económica
[12] 뉴스 Acclaimed French author praises Korean literature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8-01-02
[13] 뉴스 한국과 각별한 인연 가진 르클레지오 https://web.archive.[...] 2008-10-09
[14] 웹사이트 Nobel Laureate Le Clézio Officially Joins Nanji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3-11-06
[15] 뉴스 A Frenchman and a geographer http://entertainment[...] review is taken from the TLS 2006-04-21
[16] 웹사이트 Maurice : Source d'Inspiration pour le Prix Nobel de Littérature, Jean-Marie Gustave Le Clézio (Lire, "Le Clézio N° 1", 1994, 22s. ) https://archive.toda[...] modéré par CEDREFI 2008-10-14
[1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8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8] 뉴스 France's Le Clézio Wins Nobel Literature Prize https://www.washingt[...] 2008-10-09
[19] 뉴스 Le Clézio uses Nobel lecture to attack information poverty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home 2008-12-08
[20] 웹사이트 The Nobel Foundation 2008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8 2008-12-07
[21] 뉴스 Foyer de l'horreur au Mexique : plaidoyer pour " Mama Rosa " par JMG Le Clézio http://www.lemonde.f[...] 2014-07-24
[22] 웹사이트 AGNI Online: Pawana by J. M. G. Le Clézio https://web.archive.[...] 2008-10-12
[23] 학술지 On reading as true travel 2002-03-01
[24] 학술지 Freedom to Dream 1997-01-01
[25] 학술지 Freedom to Speak 1997-01-01
[26] 웹사이트 Prix Valery Larbaud https://web.archive.[...] Prix littéraires
[27] 웹사이트 Prix Jean Giono / Grand Prix Jean Giono https://web.archive.[...] Fondation Pierre Bergé – Yves Saint Laurent / Prix littéraires
[28] 기타 pour l'ensemble de son œuvre, à l'occasion de la sortie de Poisson d'or 2008
[29] 뉴스 Ljusgestalt i ondskans tid http://www.svd.se/ku[...] 2008-10-24
[30] 웹사이트 Fransman får Stig Dagermanpriset https://archive.toda[...] 2008-06-04
[31] 웹사이트 Ritournelle de la faim – Jean-Marie-Gustave Le Clézio http://www.lehman.cu[...] ciao.fr
[32] 학술지 Décret du 31 décembre 2008 portant promotion et nomination http://www.legifranc[...] 2009-01-01
[33] 웹사이트 Simone Veil, Zidane et Lagardère décorés http://www.lefigaro.[...] lefigaro.fr 2009-01-01
[34] 학술지 Ordre national du Mérite Décret du 14 novembre 1996 portant promotion et http://www.legifranc[...] 1996-11-15
[35] 기타 Gerard de Cortanzeによる書物、un nomade immobileなどに記されている、ル・クレジオ自身による発言
[36] 간행물 現代詩手帖 (출판사 정보 없음)
[37] 서적 アニエス・ヴァルダ 愛と記憶のシネアスト neoneo
[38] 서적 調書 (출판사 정보 없음)
[39] 웹사이트 文学フォーラム東京 書き続けた 戦後 人間と世界 探る https://info.yomiuri[...]
[40] 서적 限りなき視線 駿河台出版社
[41] 간행물 Magazine Litterai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